리눅스 기본 환경
명령줄 인터페이스
-
텍스트 터미널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뜻한다.
-
즉, 작업 명령은 사용자가 컴퓨터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의 형태로 입력하며 컴퓨터로부터의 출력 역시 문자열의 형태로 주어진다.
-
명령어 구조
명령어
: 시스템에서 특정 작업을 하기 위해 실행파일, 프로그램
옵션
: 명령어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지정 일반적으로 대시(-) 문자 뒤에 옵션을 지정
아규먼트(Argument)
:명령어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파일 or 디렉토리 등 특정 대상
ex) ls -al, ifconfig -a, netstat -anp
디렉토리 관련 명령어
먼저 디렉토리는 그냥 폴더이다.
- pwd : 현재 작업 디렉토리 확인
- cd : 작업 디렉토리 변경 (change directory)
- ls : 디렉토리 내용 확인
- mkdir : 디렉토리 생성 (make directory)
- rmdir : 디렉토리 제거 (remove directory)
- mv : 디렉토리 이름 변경
- mv : 디렉토리 이동
- cp : 디렉토리 복사
mv는 옵션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.
- ls [확인 할 디렉토리] : 디렉토리 내용 확인
- 일반적으로 ls 명령어는 -al 옵션과 같이 사용한다
-
-a는 숨겨진 파일까지 모두 표시, -l은 좀 더 자세한 결과를 출력한다.
-
mkdir [생성할 디렉토리 이름] : 지정한 이름으로 된 디렉토리를 생성
하위 구조도 함께 만들려면 -p옵션을 함께 사용 -
rmdir [삭제할 디렉토리 이름] : 디렉토리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내부에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있으면 안에 파일을 삭제하고 삭제
-
rm -r [삭제할 디렉토리 이름] : 파일을 삭제하는 rm명령어에 -r 옵션을 이용하여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다.
- cd [이동할 경로] : 작업 디렉토리를 다른 곳으로 변경할 때 사용
절대 경로 & 상대 경로
- 명령어를 사용할 때 경로를 입력하는 방식은 2가지가 있다.
- 절대 경로 : 최상위 디렉토리인 /에서부터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모두 입력
- 상대 경로 :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경로를 입력
.
은 현재 디렉토리를 의미하고..
은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한다.그래서
cd ..
이라는 명령어는 상위 폴더로 디렉토리를 이동해달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다.
cd /
은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해달라는건데, 그냥/
로 시작하면 절대경로가 되는데, 절대경로상/
는 가장 최상위 디렉토리라 그런것이다.
파일 관련 명령어
- touch : 내용에 아무것도 없는 빈 파일을 생성
-
rm :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어
-
mv : 파일 이름 변경
-
cp : 파일 복사
- cat,head,tail,more : 파일 내용 확인
전체적으로 디렉토리 명령어랑 겹치는 내용이 많다.
-
touch [생성할 파일이름] : 생성할 파일이름 으로 비어있는 파일이 생성된다.
-
rm, mv, cp 는 디렉토리 명령어랑 동일하게 사용한다.
-
head는 옵션을 넣으면 위에서부터, tail은 아래서부터 보고 싶은 라인 수만큼 보여준다.
- more 은 파일의 내용을 화면에 맞춰서 확인, space는 한 페이지씩 확인, enter는 한 줄 더 확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