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인공신경망과 퍼셉트론
퍼셉트론과 신경망 퍼셉트론은 신경망의 기본 구성요소입니다. 신경망(Neural Net)의 기본 구조를 보면 보통 아래와 같이 그립니다. 이 중 파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, 신경망의 구성요소를 퍼셉트론이라고 합니다. 다른 말로는 Dense(밀집) 혹은 노드(Node) 라고도 부릅니다. 퍼셉트론의 구성요소 위 그림의 신경망에서 하나의 퍼셉트론을 확대해서 보면, 그림과 같이 퍼셉트론은 입력(inputs), 가중치(Connection Weight), 바이어스(bias), 합 연산(Sum), 활성 함수(Activation Function)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오느날 인공신경망에서 이용하는 퍼... Read More
-
SOLID -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
SOLID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의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 SOLID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지켜야하는 5대 원칙으로 각각 SRP(단일 책임 원칙), OCP(개방-폐쇄 원칙), LSP(리스코프 치환 원칙), DIP(의존 역전 원칙), ISP(인터페이스 분리 원칙)의 앞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. SOLID 원칙을 철저히 지키면 시간이 지나도 변경이 용이하고, 유지보수와 확장이 쉬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. SRP : 단일 책임 원칙 (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)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. 하나의 책임이라는 ... Read More
-
JAVA Spring 시작하기
Spring 라이브러리 Spring Boot Library spring-boot-starter-web spring-boot-starter-tomcat : 톰캣(웹서버) spring-webmvc : 스프링 웹 MVC spring-boot-starter-thymeleaf : 타입리프 템플릿 엔진(View) spring-boot-starter(공통) : 스프링부트 + 스프링코어 + 로깅 spring-boot spring-core ... Read More
-
C언어 Makefile 이해하기
Makefile 왜 쓰는데? 간단한 소스코드 파일 한두개라면 몰라도 컴파일 해야할 코드 갯수가 굉장히 많아지면 gcc 방식으로 하나하나 컴파일 하는것은 시간도 오래걸리고 굉장히 귀찮은 일이된다. 그래서 반복적인 작업을 피하기 위해서 쓰는것이 make 유틸리티이다. make / Makefile make는 유틸리티 이름이다. make 유틸리티는 Makefile이라는 파일의 내용을 읽어서 목표 파일(target)을 만듭니다. 컴파일과정 c파일에서 object 파일 생성하기 ex) gcc -c -o ft_strlen.o ft_strlen.c -c 옵션은 해당 c파일을 .o(오브젝트)파일... Read More
-
C언어 write 함수
unistd.h 가 뭔데? POSIX 운영체제 API에 대한 엑세스를 제공하는 헤더파일이다. 보통 Unix 에 쓰이는 표준 심볼들과 상수들을 정의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unistd.h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은 대부분 유닉스환경에서만 쓸 수 있다. write 함수를 어디에 쓰는건데? #include <unistd.h> ssize_t write(int fd, void* buf, size_t nbytes); 보통 오픈한 파일에 데이터를 쓸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. return value : 성공 시 기록된 바이트수, 에러시 -1을 return 한다. 그런데,해당 함수를 에 있는 printf()... Read More